기상청은 6일 오후 3시 30분부터 서울과 경기도 대부분 지역에 대설주의보를 발효했습니다. 인천과 충남 북서부에도 동일한 경보가 내려졌으며, 내일까지 서울과 수도권에는 최대 10cm, 충청과 호남 서해안에는 최대 15cm 이상의 눈이 예보되었습니다.
특히 경기 남부와 충청, 호남 지역에서는 시간당 3~5cm의 강한 눈이 예상되어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중부 지방에서는 내일 오후부터 차츰 눈이 그칠 예정이지만, 호남과 제주는 주말까지 눈이 계속 내릴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폭설이 어떻게 발생했는지, 그리고 이에 대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눈송이의 탄생 이야기
눈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몇 가지 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먼저, 수증기의 응결입니다. 대기 중의 수증기가 차가운 온도 때문에 응결하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이 과정에서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들이 생성됩니다.
다음으로는 얼음 결정 형성 단계입니다. 구름 속의 온도가 더 낮아지면, 수증기가 얼음 결정으로 변합니다. 이 얼음 결정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더 큰 덩어리로 합쳐지게 됩니다.
그리고 눈송이 형성 단계로 넘어갑니다. 얼음 결정들이 모여서 눈송이로 발전하게 되는데, 눈송이는 주로 육각형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수소 결합의 특성 때문입니다. 그래서 모든 눈송이는 각기 다른 모양을 가지지만, 기본적으로는 육각형 구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강설 단계가 있습니다. 형성된 눈송이들이 무게 때문에 중력에 의해 지상으로 떨어지면서 눈이 내리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렇게 눈이 내리게 되는 것입니다.
2. 올해 폭설의 비밀
이번 겨울은 예상보다 눈이 많이 내린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몇 주 동안 수도권과 강원권에서는 계속해서 눈이 내리고 있으며, 호남과 제주도에서도 주말까지 눈이 멈추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왜 이렇게 눈이 많이 오는 걸까요? 몇 가지 이유가 있어요.
첫째, 라니냐 현상 때문입니다. 태평양의 적도 부근 해수면 온도가 낮아지면 대기 순환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로 인해 북반구에 위치한 우리나라에 추운 날씨가 이어지고, 눈이 많이 내릴 수 있습니다.
둘째, 북극진동이 있습니다. 북극의 차가운 공기가 남쪽으로 내려오면서 중위도 지역에 많은 눈을 내리게 합니다. 북극진동이 음성일 때 이러한 현상이 더 강해집니다. 대한민국은 북위 33도에서 39도 사이에 걸쳐 있는 중위도 지역에 속해 있어서 영향을 받습니다.
셋째, 기후 변화 때문이기도 합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북극의 얼음이 녹아내리면서 대기의 순환이 변하고, 이로 인해 북반구의 겨울철에 더 많은 눈이 내릴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제트기류의 변화도 있습니다.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가 변하면서 추운 공기가 중위도 지역으로 유입되면 눈이 많이 내릴 수 있습니다.
3. 눈 오는 날 안전하게 지내기
눈이 많이 내리면 도로가 매우 미끄러워집니다. 이럴 때는 특히 운전할 때 조심해야 합니다. 속도를 줄이고 갑자기 멈추거나 급출발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안전 운전이 중요하기 때문이죠.
눈이 오면 길이 얼어서 미끄러울 수 있어요. 걸을 때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미끄럼 방지 신발을 신거나 천천히 걸으면 안전하게 다닐 수 있습니다. 걷는 동안 주변도 잘 살피는 것이 좋아요.
눈이 올 때는 춥기 때문에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뜻한 옷을 입고, 모자와 장갑도 착용하는 게 좋습니다. 집 안에서도 너무 춥지 않게 따뜻하게 지내세요. 추운 날씨에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눈이 쌓이면 지붕이나 건물이 무게를 견디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정기적으로 쌓인 눈을 치워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붕이나 다른 구조물에 눈이 너무 많이 쌓이지 않도록 잘 관리하세요.
'라이업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로소프트의 양자 칩 '마요라나 1': 미래를 여는 열쇠 (26) | 2025.02.26 |
---|---|
혁신적 촉매 시스템, 지구 온난화의 열쇠가 될 수 있을까? (22) | 2025.02.18 |
인공태양: 미래 에너지를 향한 혁신의 길 (19) | 2025.02.04 |
얼음이 녹지 않는 전자레인지? 과학적 비밀과 유사과학 해부 (11) | 2025.01.29 |
아침에 왜 달이 뜰까? (1) | 2025.01.17 |